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K웹툰이 새로운 시선을 만들다"

    워싱턴한국문화원(원장 김정훈, 이하 문화원)이 한국만화영상진흥원(원장 신종철)과 협력해 선보이는 한미동맹 70주년 기념전시 ‘Beyond the Sene: K웹툰, 새로운 시선을 만들다’가 내달 25일(수)까지 열린다.     지난 30일 전시 개막 행사에는 백여명이 참여해 한국 전통음악 공연과 현지 K팝 커뮤니티 공연, 전통 DIY 만들기 및 웹툰 컬러링 등 다양한 한국 문화 프로그램들을 즐기고 체험하는 시간을 가졌다.     신종철 원장은 “한국의 전통, 역사, 로맨스를 다룬 이야기와 성공을 위한 도전담을 다룬 두편의 웹툰 전시를 통해 한국의 역사와 전통이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화원 2층에서 진행중인 전시회는 조선 22대 왕 정조와 의빈 성씨의 실화를 바탕으로 역사적 상상력을 가미한 ‘옷소매 붉은 끝동’과 여성들의 경쟁과 우정을 다룬 ‘정년이’를 선보여 한미 동맹 70주년의 의미를 더했다.     전시는 웹툰이 다루는 다채로운 소재와 더불어 서사의 매력과 시각적 요소를 알리는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작품 속 주인공들의 우정과 성장 서사를 통해 소통과 교류의 의미를 강조하고 있다.     웹툰 ‘정년이’는 창극으로 공연된 바 있으며 현재 드라마로도 제작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문화원의 이번 전시는 영상예술이나 공연 등 다양한 매체로 세계 무대로 확장중인 K웹툰의 흐름을 알 수 있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아울러 전라북도 남원시의 협조로 웹툰에 등장하는 한복과 왕실문화의 실물 관람 및 체험 기회도 제공된다.     한편 문화원 전시는 별도 예약없이 누구나 무료 입장할 수 있으며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오전10시부터 오후 5시(점심시간 12시~1시 제외)까지 관람할 수 있다.  김윤미 기자 kimyoonmi09@gmail.com웹툰 시선 웹툰 전시 웹툰 컬러링 한국 전통음악

2023-10-03

[김형석의 100년 산책] 14살 때 죽음 앞두고 올린 기도, 평생 지킨 '기도하는삶'

나의 정신적 불행은 일제강점기, 12살부터 시작되었다. 고향의 초등학교는 4학년까지 다녔다. 부친이 주변 학교 중에서 칠골의 창덕소학교가 가깝고 좋겠다고 생각해 편입시험을 보러 갔다. 부친을 따라 교무실로 들어갔는데, 5~6학년 담임이었던 윤태영 선생이 일본어를 전혀 배우지 못해 안 되겠다고 거절했다. 그때였다. 그 광경을 보고 있던 교장 심 목사가 “학교에서 가르치지 않았는데 어떻게 알겠어요. 애가 똑똑해 보이니까 붙여주라”고 했다. 그때부터 해방까지 13년 동안, 우리글과 일본어를 함께 배우며 살았다. 솔직히 생활은 우리말로 했지만 읽고 쓰는 데선 일본어 비중이 커졌다. 식민지 민족의 슬픈 운명이었다.   그런 과거 때문에 지금도 한글 문장력이 부족하다고 느낀다. 30대 중반부터 글을 쓰기 시작했으니까 저술에 자신이 없었던 것도 사실이다. 그것뿐만이 아니다. 일찍부터 교회에 나갔고 기독교 학교에 다녔다. 내 정신과 사상의 기반이 당초 동양적인 것과는 거리가 멀었다. 더욱이 서양철학을 전공하여서 동양 및 한국 전통과는 조우할 기회가 적었다. 내 사상의 그릇에 동서양이란 대립하는 정신을 함께 담을 수 없었다.   일제강점기에 자란 세대들의 불운     나만 그런 것은 아니다. 나와 같은 세대들의 역사적 불운이었다. 서양 학문과 사상, 특히 철학을 전공한 학자나 교수들에게 주어진 공통된 숙명이기도 했다. 문자로 표출되지 않는 예술 분야도 마찬가지였다. 우리 가요나 가곡을 제외하고는 한국 전통음악을 제대로 이해할 여유가 없었다. 대학강의를 하면서도 한국적인 정신과 전통에서 소외당하고 있는 건 아닌지 자괴심마저 들었다. 한국적인 것이 빈약한 나 자신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다 나도 모르게 관심이 갖게 된 분야가 회화를 중심으로 한 한국미술이었다. 사실 회화에 대한 예술의식 비슷한 것은 대학 시절에 키울 수 있었다. 대학생 때 도쿄 우에노 공원에 있는 도쿄 도립미술관 지하식당에서 아르바이트를 했다. 일본을 대표하는 미술관이어서 일본 회화는 물론 서양화가들의 전시회도 연중 열렸다. 식당 위층이 전시장이어서 일본화 대가들을 자주 감상하게 되었다. 그림 미술의 예술성을 조금씩 알 것 같았다.   이후 서울에서 한국 화가들의 그림을 보기 시작했다. 중국의 전통 화풍에서 벗어난 한국적인 그림에 눈을 뜨기 시작하였다. 좀 더 한국적인 것을 찾아보다가 문인화에 마음이 끌리기 시작했다. 선비들이 학문이나 시를 쓰다가 취미 삼아 그린 그림들이다. 궁중화가나 전문화가 작품보다 한국인다운 느낌이 더 물씬하였다. 그리고 민화(民畵)를 접했다. 이것이 한국 특유의 그림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름 있는 작가도 아니고 목적이 뚜렷한 그림도 아닌 생활의 필요나 재미에서 탄생한 그림들이다. 그 수는 많지 않았으나 전국 어디에서나 찾아볼 수 있었다. 개성이 뚜렷하고, 창작열 뜨거운 작품들이다.   몇십 년 국전을 관람하면서 동양화나 서양화의 주류를 벗어난 한국적 회화가 태어나고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한국 회화의 장래가 희망적으로 보였다. 그림 감상의 기쁨이 배가되었음은 물론이다. 당시 서울 골동품상 흔하게 볼 수 있는 옛날 도자기들도 우연히 살피게 되었다. 고려시대 작품들은 고급스럽고 예술성이 풍부하나 중국적인 전통을 벗어나기 어려웠다. 우아한 색채와 상감이 중국 것을 능가하였지만 말이다.   조선시대로 접어들면서는 주변국 어디에서도 찾아보기 어려운 ‘우리 것’의 특성이 뚜렷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종류도 다양해졌다. 그 본령을 이루는 것은 당연히 백자이다. 달항아리뿐만이 아니다. 수많은 일상용품 백자가 빚어졌다. 조선 초기의 다양한 백자는 우리 조상들의 일상과 함께하는 예술성을 품고 있다.   상당히 오랜 기간 도자기들을 찾아다니면서 안복(眼福)을 많이 누렸다. 비로소 한국적인 생명력이 넘치는 예술성을 느끼는 듯했다. 이후 세계 여러 곳을 여행하면서도 도자기에 대한 애착과 관심을 내려놓지 않았다. 내 경험을 돌아볼 때 가장 많은 종류의 도자기를 소장한 곳은 튀르키예의 이스탄불 박물관이다. 동서양 작품이 두루 모여 있다. 하지만 세계 어디에 가도 한국적인 것만큼 자연스러우면서도 정감 넘치는 도자기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조선 후기의 작품들은 생활미와 예술미, 그 둘의 조화미가 빼어나다.   생활미와 예술미 두루 갖춘 백자   가격도 부담이 적어 한두 점씩 사 모은 것이 이제 몇백점에 이르게 되었다. 인연 있는 중고등학교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에 상당수 작품을 보내기도 하고, 나머지는 강원도 양구 근현대사 박물관에 기증하였다. 내 기념관인 ‘철학의 집’에 여러 점을 비치하기도 했다. 양구 박물관의 내 도자기 방에는 두 점의 문인화, 조지훈이 도자기를 예찬한 시도 걸려 있다. 규모는 작지만 지방박물관에서는 보기 드문 전시실이 되었다.   가장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이라는 말이 있다. 그 개념은 과장된 표현이다. 가장 인간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라고 믿는다. 모든 국가와 민족은 인간적인 것을 간직하면서 세계적인 것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한국적인 것도 인간적인 것의 보편성에 들어가 있는 특수성을 갖는다. 그 특수성을 창조해내는 예술가들이 우리 자신이다. 그런 생각을 정리하다 보면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인간적 공통성을 지닌 예술성이다. 핵심은 예술인 자신들의 인간적 보편성을 갖는 창조정신이다. 그런 한국적 특수성이 모여 세계적인 보편성을 창조해 나갈 것이다. 김형석 / 연세대 명예교수김형석의 100년 산책 죽음 기도 한국 전통음악 한국 화가들 한국 특유

2023-03-17

문화원, 한국 관련 고서 전시회

뉴욕한국문화원(원장 김천수, 이하 문화원)은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이해 팬데믹 이후 3년 만에 오프라인 전시 리셉션 'The Wonder Unbound'를 15일 개최했다.     이번 전시에선 1700년대부터 1960년대, 한국과 일본이 아닌 제3의 서양권 나라에서 기록되고 출판된 한국 관련 고서 120여권이 처음으로 대중에게 공개됐다. 리셉션에는 한미동맹과 우호관계를 상징하는 한국전쟁 참전용사를 비롯해 뉴욕공공도서관 큐레이터, 그리고 소장가인 동덕여대 이승철 교수 등 문화예술계 주요 인사들이 대거 참석했다.   문화원은 이번 전시를 시작으로 한미동맹 70주년을 기념하는 다채로운 행사를 준비 중이다.     우선 문화원은 다음달 비디오 아트계의 거장 백남준을 주인공으로 한 다큐멘터리 'Nam June Paik: Moon is the Oldest TV' 특별 상영회를 개최한다. 2023년 선댄스영화제 다큐멘터리 경쟁 부분에 진출한 한인 아만다 김 감독이 연출한 이 작품은 백 작가의 삶과 예술세계가 망라돼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유명 할리우드 배우 스티븐 연이 총괄 프로듀서로 참여해 더욱 주목받고 있다.     3월부터 7월까지는 링컨센터와 공통으로 한국 공연예술의 정수를 뉴요커들에게 선보일 계획이다. 한국 전통음악, 퓨전창작음악, K팝, 전통을 기반으로 한 창작 무용 등 다채로운 공연을 펼친다. 문화원은 또한 올해 처음으로 뉴욕대 소속 전문 공연장 스커볼 센터와 첫 파트너십 공연을 선보인다.     한국의 디아스포라 역사를 조명하는 특별전은 5~7월 열리며, 9월 중엔 한국영화 특별전을 기획 중이다. 주요 사업에 대한 자세한 문의는 홍보팀 윤보라 실무관(b.yoon@koreanculture. org)에게 하면 된다. 김은별 기자 kim.eb@koreadailyny.com문화원 전시회 한국 공연예술 한국전쟁 참전용사 한국 전통음악

2023-03-1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